'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6

파니엔테(Far Niente),미국 샤도네이 [크림 뇨끼와 라자냐에 어울리는 리치한 화이트와인] 파니엔테- 아무 걱정없이이탈리아어로 아무 걱정없이, 이런 의미.선물로 받으면 의미가 좋겠다.파니엔테 샤도네이(Far niente Chardonnay)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지역(Napa Valley) 지역을 대표하는프리미엄 샤도네이 화이트와인이다.첫 모금은적당한 산미와 가벼운 바디감으로시작하지만,시간이 지나며 점점 리치하고 크리미한 질감으로 변한다.입안에 남는 부드러운 바닐라향과 적당한 묵직함이 좋았다.적당한 바닐라 느낌이 있어서,누구나 마시기 좋은 밸런스를 보여준다.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직관적으로 맛있는 와인.”*옥수수 크림 뇨끼옥수수 퓌레로 만든 크림소스 위에노릇하게 튀긴 뇨끼와그릴 옥수수가 올려진 메뉴.입안에서 느껴지는 달콤한 옥수수 향과 고소한 크림,그리고 뇨끼의 쫀득한 식감이 조화를 이룬다... 2025. 10. 13.
미술품과 세금, 건보료의 관계: 그림 사고 팔때, 세금 없다고요? 그럼 건보료도 없나요? 1.미술품, 단순한 작품이 아닙니다.요즘 미술품을 단순한 ‘작품’이 아니라, ‘자산’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부자들의 취미 아니야?”“드라마에서 재벌이 사는 거 봤는데…”이제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몰랐다면, 이제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미국, 유럽, 홍콩, 일본 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미술을 투자와 절세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는 이제 막 시작이죠. 미술은 세금과 건강보험료에서 생각보다 훨씬 유리한 자산입니다.다만, 주의할 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이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2.미술품 세금 구조, 생각보다 간단합니다.위 작품을 한국 사람이 낙찰받아서 한국에서 팔면, 세금은 얼마나 낼까?우선 살때, 취득세 또는 부가세가 없습니다.보유할 때, 재산세 등 없습니다.팔 때, .. 2025. 10. 9.
SCHD vs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여SCHD를 매수하는 방법과원화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를 매수하는 것은한국투자자 입장에서는 거의 비슷합니다.(환전수수료, 추적오차 등 제외) 올해(YTD) 수익률을 보면,SCHD가 더 좋아보이나, 달러로 환전해서 투자했다면,환율이 약 5.73% 떨어져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와 비슷합니다. 그런데 어떤 계좌에서 투자했느냐에 따라 세금과 건보료가 다릅니다.SCHD를 매수할 수 있는 계좌(일반계좌)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도 매수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절세계좌(연금저축, IRP, ISA, DC 등)에서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만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일반계좌에서SCHD를 수익실현하면,양도소득세 (22%)에 해당되고 배당금(분배금)은 배당소득세입니다.그런데 TIGER 미국.. 2025. 8. 19.
SCHD vs DGRW vs SPY 미국배당 성장주 2개와 S&P500을 비교해보겠습니다.SCHD vs DGRW vs SPY 기본 가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난 10년 동안의 비교입니다. (2016~2025)SPY가 대단하네요.SCHD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아쉽네요. 2016년부터 연도별 수익률로 보면, 다릅니다.SPY는 빠질때는 더 빠지네요..SCHD는 2022년에 엄청난 방어력을 보여줬으나,2023년의 반등이 많이 아쉽고,2024년도 아쉬운데,2025년 현재 유일하게 마이너스 상태네요..DGRW가 어찌보면, 중간값 같네요. 연도별로 디테일하게 보니 더욱 잘 드러납니다. 연간 배당률로 보면, 그리고 2022년의 방어력을 보면, SCHD는 매력이 있는데, 최근 흐름이 참 손이 안 가네요.. DGRW와 SPY의 상위 3종목은 .. 2025.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