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미술3

미술품과 세금, 건보료의 관계: 그림 사고 팔때, 세금 없다고요? 그럼 건보료도 없나요? 1.미술품, 단순한 작품이 아닙니다.요즘 미술품을 단순한 ‘작품’이 아니라, ‘자산’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부자들의 취미 아니야?”“드라마에서 재벌이 사는 거 봤는데…”이제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몰랐다면, 이제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미국, 유럽, 홍콩, 일본 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미술을 투자와 절세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는 이제 막 시작이죠. 미술은 세금과 건강보험료에서 생각보다 훨씬 유리한 자산입니다.다만, 주의할 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이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2.미술품 세금 구조, 생각보다 간단합니다.위 작품을 한국 사람이 낙찰받아서 한국에서 팔면, 세금은 얼마나 낼까?우선 살때, 취득세 또는 부가세가 없습니다.보유할 때, 재산세 등 없습니다.팔 때, .. 2025. 10. 9.
데이비드 살레 (David Salle) 미국의 화가입니다. (b.1952~) 화면을 분할하거나 뭔가를 삽입하는 등 표현방식에 본인의 스타일이 있습니다. 80년대부터 최근작 Tree of Life 시리즈까지 경매 기록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1982년작으로 2017년 크리스티 런던 경매에서 약 5.2억원에 낙찰되었습니다. (환율 1,300원 기준) 1990년작으로 2017년 크리스티 런던 경매에서 약 10.3억원에 낙찰되었습니다. (환율 1,300원 기준) 2000년작으로 2006년 소더비 뉴욕 경매에서 약 2.9억원에 낙찰되었습니다. (환율 1,300원 기준) 2001년작으로 2019년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약 2.7억원에 낙찰되었습니다. (환율 1,300원 기준) 2010년작으로 2020년 필립스 런던 경매에서 약 2.5억원에 낙찰되었습.. 2023. 12. 4.
미술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금) 미술 투자는 세금에서 매우 유리합니다. 세금을 아예 안 내는 비과세 영역도 있고 세금을 내더라도 적게 내는 저율과세가 적용됩니다. 소득세법시행령 제41조제14항에 따르면, 매도하는 금액이 6천만원 미만이면 세금이 없습니다. 또한 국내생존작가의 경우, 10억, 100억이어도 세금이 없습니다. 서화(書畵)ㆍ골동품”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개당ㆍ점당 또는 조(2개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통상 짝을 이루어 거래되는 것을 말한다)당 양도가액이 6천만원 이상인 것을 말한다. 다만, 양도일 현재 생존해 있는 국내 원작자의 작품은 제외한다. 현재 국내생존작가 중 가장 고가에 거래되는 작가는 이우환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 2023. 11. 27.